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제이 두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두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두다다쿵의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두다다쿵 문서
3.1.1번 문단을
두다다쿵#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안제이 두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49년8월 15일이승만대통령대한민국
1960년8월 13일윤보선대통령대한민국
1963년12월 5일12월 17일박정희대통령대한민국
1967년6월 23일육영수영부인대한민국
1979년12월 7일최규하대통령대한민국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12월 7일홍기영부인대한민국
1980년8월 29일8월 29일전두환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8월 29일8월 29일이순자영부인대한민국
1988년2월 24일2월 25일노태우대통령대한민국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2월 24일2월 25일김옥숙영부인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김영삼대통령대한민국
1993년2월 11일2월 23일손명순영부인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김대중대통령대한민국
1998년2월 17일2월 25일이희호영부인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노무현대통령대한민국
2008년1월 28일권양숙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이명박대통령대한민국
2013년2월 12일김윤옥영부인대한민국
2013년2월 19일박근혜대통령대한민국
2022년5월 3일문재인대통령대한민국
2022년5월 3일김정숙영부인대한민국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상훈 연도결정일수여일이름직책국적비고
1964년12월 3일12월 8일하인리히 뤼프케대통령서독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12월 3일12월 8일빌헬미네 뤼브케영부인서독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2월 1일2월 7일이스마일 나시루딘국왕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7일틍쿠 인탄 자하라왕비말레이시아
1966년2월 1일2월 10일푸미폰 아둔야뎃국왕태국
1966년2월 1일2월 10일시리낏 끼띠야콘왕비태국
1966년2월 1일2월 15일장제스총통중화민국
1968년5월 10일5월 18일하일레 셀라시에황제에티오피아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반티에우총통남베트남
1969년5월 23일5월 27일응우옌티마이아인제1부인남베트남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하마니 디오리대통령니제르
1969년10월 28일10월 28일아이샤 디오리영부인니제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대통령엘살바도르
1970년9월 25일9월 28일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영부인엘살바도르
1975년6월 27일7월 5일오마르 봉고대통령가봉
1975년6월 27일7월 5일조세핀 봉고영부인가봉
1979년4월 17일4월 23일레오폴 세다르 상고르대통령세네갈
1979년4월 17일4월 23일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영부인세네갈
1980년5월 11일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국왕사우디아라비아
1980년5월 14일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1981년6월 25일수하르토대통령인도네시아
1981년6월 25일시티 하티나영부인인도네시아
1981년6월 29일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국왕말레이시아
1981년6월 29일틍쿠 아프잔왕비말레이시아
1981년7월 6일페르디난드 마르코스대통령필리핀
1981년7월 6일이멜다 마르코스영부인필리핀
1981년10월 13일로드리고 카라소대통령코스타리카
1981년10월 13일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영부인코스타리카
1982년5월 10일사무엘 도대통령라이베리아
1982년6월 7일모부투 세세 세코대통령자이르
1982년6월 7일보비 라다와영부인자이르
1982년8월 25일압두 디우프대통령세네갈
1982년12월 21일케난 에브렌대통령터키
1983년3월 10일3월 15일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대통령수단
1983년3월 10일3월 15일부띠나 칼릴 압불핫산영부인수단
1983년9월 10일후세인 1세국왕요르단
1983년9월 10일누르왕비요르단
1984년4월 9일하사날 볼키아국왕브루나이
1984년4월 21일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국왕카타르
1984년8월 30일9월 13일다우다 자와라대통령감비아
1984년8월 30일9월 13일치렐 자와라영부인감비아
1985년5월 17일무함마드 지아울하크대통령파키스탄
1985년5월 20일루이스 알베르토 몽헤대통령코스타리카
1986년9월 4일4월 10일엘리자베스 2세국왕영국
1986년9월 4일4월 16일보두앵국왕벨기에
1987년4월 7일아메드 압달라대통령코모로
1988년11월 3일이스칸다르국왕말레이시아
1988년11월 3일자나리아왕비말레이시아
1989년11월 3일11월 20일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대통령서독
1989년11월 3일11월 30일프랑수아 미테랑대통령프랑스
1989년11월 3일11월 30일다니엘 미테랑영부인프랑스
1990년6월 21일안드레스 로드리게스대통령파라과이
1990년11월 5일괸츠 아르파드대통령헝가리
1991년9월 13일아즐란 샤국왕말레이시아
1991년9월 13일투안쿠 바이눈왕비말레이시아
1991년9월 25일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대통령멕시코
1992년8월 13일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대통령과테말라
1993년5월 20일5월 25일피델 라모스대통령필리핀
1993년5월 20일5월 25일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영부인필리핀
1994년11월 7일11월 21일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대통령칠레
1994년12월 5일12월 9일레흐 바웬사대통령폴란드
1995년2월 7일2월 16일이슬람 카리모프대통령우즈베키스탄
1995년2월 21일3월 6일로만 헤어초크대통령독일
1995년3월 28일4월 3일젤류 미테프 젤레프대통령불가리아
1995년6월 26일7월 7일넬슨 만델라대통령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9월 26일9월 29일카를로스 메넴대통령아르헨티나
1996년7월 23일9월 4일알바로 아르수대통령과테말라
1996년7월 23일페르난두 카르도주대통령브라질
1996년10월 8일10월 20일후안 카를로스 1세국왕스페인
1996년10월 8일10월 20일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왕비스페인
1996년11월 26일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국왕말레이시아
1996년12월 10일12월 15일레오니드 쿠치마대통령우크라이나
2000년2월 22일3월 3일카를로 아첼리오 참피대통령이탈리아
2000년2월 22일3월 6일자크 시라크대통령프랑스
2006년3월 12일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대통령알제리
2007년3월 26일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국왕쿠웨이트
2007년3월 28일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국왕카타르
2009년5월 13일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대통령카자흐스탄
2009년11월 12일알란 가르시아대통령페루
2012년5월 30일칼 16세 구스타프국왕스웨덴
2012년11월 21일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대통령아랍에미리트
2018년10월 8일에마뉘엘 마크롱대통령프랑스
2019년하랄 5세국왕노르웨이
2021년6월 14일알렉산더 판데어벨렌대통령오스트리아
2021년6월 16일펠리페 6세국왕스페인
2021년6월 16일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왕비스페인
2021년8월 25일이반 두케대통령콜롬비아
2021년9월 21일보루트 파호르대통령슬로베니아
2023년7월 13일안제이 두다대통령폴란드
2023년11월 21일찰스 3세국왕영국





폴란드 제11대 대통령
안제이 두다
Andrzej Duda
파일:President_of_Poland_Andrzej_Duda_(cropped).jpg
본명안제이 세바스티안 두다
Andrzej Sebastian Duda
출생1972년 5월 16일 (52세)
폴란드 인민 공화국 크라쿠프
재임기간제11대 대통령
2015년 8월 6일 ~ 현직
링크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아가타 코른하우세르
자녀딸 1명
학력야기엘론스키 대학교 (법학 / 학사, 석사, 박사)
신체182cm
정당
무소속

[1]
의원선수1 (하원)
의원대수7대

[1] 원래 당적은 법과 정의이나, 폴란드 대통령은 취임 즉시 당적을 상실하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무소속이다. 물론 안제이 두다는 실질적으로 법과 정의 소속이며 여전히 법과 정의 관련 행사에 참가하고 있다.

1. 개요
2. 생애
3. 선거 이력
4. 기타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폴란드정치인. 1972년 출생하여 2015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폴란드 제3공화국의 6번째 대통령이 되었고, 2020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에서도 당선되어 재선 임기를 수행 중이다.


2. 생애[편집]


1972년 폴란드 인민 공화국 크라쿠프에서 출생하였다. 안제이 두다의 할아버지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폴란드 제2공화국이 독립한 직후 벌어진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에서 폴란드군으로 참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에도 폴란드군으로 나치 독일군에 맞서 싸웠다고 한다.

1989년 폴란드동유럽 혁명으로 사회주의 체제가 전복되고 민주화되던 시점에 두다는 고등학생이었고, 1991년 야기에우워 대학교 법학과에 진학하였다. 2001년 법과 정의에 입당하고, 2005년 야기에우워 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법과 정의 활동 경력 때문에 법학교수로 임용되지는 못하고 정치인이 된다.[1]

2005년 폴란드 법무부 차관으로 임용되었고, 2008년 레흐 카친스키 대통령의 비서실장으로 올라가면서 급격히 세를 불렸다. 2010년 폴란드 공군 Tu-154 추락사고로 카친스키 대통령이 사망하자 안제이 두다는 대통령을 잘 모시지 못한 책임을 지고 비서실장직에서 사퇴하였다. 이후 크라쿠프 시장 선거에 출마했으나 시민 연단 후보에 밀려서 낙선했다. 2011년 폴란드 세임(하원) 총선에서 처음 당선됐다.

2015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 대통령(시민 연단)을 접전 끝에 결선 투표에서 약 50만 표차(3%p)로 누르고 당선됐다.

대통령으로의 행적에 대해서는 꽤 긍정적이라 2017년 한 때 두다 대통령의 지지율이 71%까지 올라갔다. 레흐 바웬사 대통령 초기 지지율 76% 이후 최고의 지지율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2018년 이후 폴란드의 경제영 좋지 못한 상황이라 지지율이 많이 내려갔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응 문제로도 지지율이 급변동을 하였다.

2020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에서는 시민 연단브로니스와프 코모로프스키 전 대통령에서 라파우 트샤스코프스키 바르샤바 시장으로 후보를 교체하는 승부수까지 띄웠다. 안제이 두다 현 대통령과 트샤스코프스키 바르샤바 시장은 5년 전 대선보다 더 박빙의 대결을 벌이고 있다. 두 후보 간 여론조사가장 큰 차이가 0.9%p 차이다. 출구조사 결과 그것보다 0.1%p 줄어든 0.8%p의 득표율 차이로 대통령 재선에 성공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개표도 역시나 접전끝에 51.21%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됐다.# 최종 개표결과는 안제이 두다 51.03% vs 라파우 트샤스코프스키 48.97%로 2%p 차의 박빙 승부였다. 폴란드 동부 농민층의 지지로 재선에 성공했지만 원래 맞수로 여겨지던 도날드 투스크 전 총리가 불출마했음에도 불구하고, 간신히 승리해 목표했던 압승에는 실패하면서 향후 정국 운영에 빨간 불이 켜졌다.

이유를 알아야 하는데, 폴란드 의회법과 정의2019년 폴란드 총선거 결과 세임(하원)에서 과반수를 장악하여, 안제이 두다 대통령과 세임에서 뽑은 총리직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2019년 같이 총선을 시행한 세나트(상원)은 법과 정의가 48석으로, 야권연대가 52석을 차지하여 상원에서 법과 정의가 소수당인 것이다. 때문에 폴란드 상원은 2020년 들어서자 법과 정의당에서 추천하는 모든 인사에 대한 인준 동의를 부결시키면서[2] 법과 정의 내각은 2020년 현재 마비 상태에 빠져있다.

그래서 법과 정의와 두다 대통령은 이번 대선에서 큰 승리를 통해 정권의 정당성을 얻고 싶었다. 그러나 대선 2개월 앞두고 대선에 뛰어든 시민 연단의 라파우 트샤스코프스키 바르샤바 시장한테 턱밑까지 추격을 허용하면서, 두다 대통령과 법과 정의당의 권력 장악 계획에는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어느덧 1년 이상 지나고 폴란드는 러시아는 가히 직면한 적에 가까운 분위기인지라 두다 정권에서는 내부의 적에 가까운 친러주의자가 공직을 차지하면 위험하다 여겼는지 여당과 함께 친러 성향이면 재판없이 공직을 박탈할 수 있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일부 시민들은 민주주의 탄압이라며 바르샤바에서 시위가 벌어졌다. 해당 법안이 도날트 투스크 전 EU 상임의장이 2025년 대선을 출마하지 못하게 만드는 점을 노린 것이라는 점이 명백하기 때문이다.

그가 집권한 후 폴란드의 민주주의는 전반적으로 후퇴했다고 평가받는다. 미국의 인권단체 프리덤 하우스가 매년 발표하는 세계의 자유 지수에서 폴란드는 두다가 집권한 직후인 2015년 기준으로 정치적 권리(PR) 38점, 시민의 자유(CL) 55점, 총 93점을 기록하며 세계 최상위권 수준으로 민주적인 국가로 분류되었는데, 그가 연임하고 있는 2023년 기준으로 폴란드는 PR 34점, CL 47점, 총 81점을 기록하며 8년 만에 12점이 추락했다. 이는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고 비판받는 다른 민주주의 국가 지도자들인 박근혜, 자이르 보우소나루, 도널드 트럼프도 달성하지 못한 기록이다. 그러나 세계의 자유 지수를 25점이나 추락시킨[3] 헝가리오르반 빅토르보다는 낫긴 하며, 이 때문인지 현 폴란드가 과거에 비해 민주주의가 후퇴했다고 비판하는 여론은 많아도 폴란드가 독재국가가 되었다는 여론은 없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1차 득표수 (득표율)결선 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72007년 폴란드 세임 선거타르누프
법과 정의
11,158 (3.97%)-낙선(6위)
20102010년 크라쿠프 시장 선거크라쿠프56,302 (22.38%)낙선(2위)
2010년 크라쿠프 시의회 선거크라쿠프 2구6,887 (16.77%)당선(1위)초선
20112011년 폴란드 세임 선거79,981 (15.79%)
20142014년 유럽의회 선거크라쿠프97,996 (10.71%)당선
20152015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폴란드5,179,092 (34.76%)8,630,627 (51.55%)당선(1위)
20202020년 폴란드 대통령 선거
무소속

8,450,513 (43.50%)10,440,648 (51.03%)재선

4. 기타[편집]


  • 2020년 10월 24일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았다.# 2022년 1월에도 2차 코로나19 확진 받았다.# 3차 접종까지 받았음에도 걸렸다고 한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독일의 올라프 숄츠 총리가 국방비 증액을 선언하자, 제2차 세계대전폴란드 침공 관련 밈으로 고통받고 있다. 주로 실레시아, 그단스크를 내놓으라는 요구를 받는 모습으로 나온다. 그러다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이후로는 막강한 군사력을 손에 넣고 오히려 허약한 군사력의 독일을 탐내고 모스크바로 진격할 각을 노리는 이미지로 반전되었다. [4]

  • 2022년 11월 23일 어느 러시아인 유튜버들이 에마뉘엘 마크롱으로 위장하고 안제이 두다에게 장난전화를 걸었는데 안제이 두다가 낚였다. 그리고 해당 통화에서 "엠마누엘(마크롱의 애칭), 저를 믿으세요. 저는 매우 신중합니다. 저는 러시아인들을 탓하지 않습니다. 제가 러시아랑 전쟁하고 싶어하는 걸로 보이세요? 절 믿으세요, 아닙니다. 저는 그걸 원하지 않아요."라고 말했다. 이는 굉장히 심각한 상황인데 폴란드의 보안 상태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외국의 민간인이 대통령에게 전화하는 것을 허용해 버린 것이다.#


5. 둘러보기[편집]



[ 아시아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겸직하여 사실상 군주에 가깝다.
*** 이란의 국가원수는 라흐바르이며, 대통령이 아니다.
**** 현직 장성급 장교들이 국회의원을 겸직하는 정당이라 사실상 미얀마군 소속에 가깝다.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무소속
민주진보당
국민의힘
람 찬드라 파우델 (초선)차이잉원 (재선)윤석열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무소속
인민민족회의
조제 하무스오르타 (재선)나지브 미카티 (권한대행)모하메드 무이주 (초선)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몽골 인민당
통합단결발전당
아와미 연맹
오흐나깅 후렐수흐민 슈웨 (권한대행)샤하부딘 추푸 (초선)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통일국민당
바트당
무소속
라닐 위크레메싱게 (초선)바샤르 알아사드 (4선)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초선)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무소속
국민전체회의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3선)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라샤드 알알리미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전투적 성직자회
이스라엘 노동당
압둘 라티프 라시드 (초선)에브라힘 라이시 (초선)이츠하크 헤르초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인도 인민당
민주항쟁당
무소속
드라우파디 무르무 (초선)조코 위도도 (재선)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재선)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메켄칠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사디르 자파로프 (초선)에모말리 라흐몬 (5선)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초선)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정의 파키스탄 운동
파타
필리핀 연방당
아리프 알비 (초선)마흐무드 압바스 (초선)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유럽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산마리노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 아닌 두 명의 집정관이다.
*** 오스트리아와 포르투갈은 헌법상 이원집정부제이나 사실상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무소속
느하스
독일 사회민주당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초선)가글로이트 알란 (초선)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재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초선)블라디미르 푸틴 (4선)클라우스 요하니스 (재선)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지금 유럽!
무소속
기타나스 나우세다 (초선)야코브 밀라토비치 (초선)마이아 산두 (초선)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노동당
무소속
사회민주당

독립사회민주연대

민주전선
조지 벨라 (초선)알렉산드르 루카셴코 (6선)데니스 베치로비치 (초선)
젤카 츠비야노비치 (초선)
젤코 콤시치 (4선)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무소속
무소속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초선)에르신 타타르 (초선)루멘 라데프 (재선)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내일-자유운동
세르비아 진보당
스위스 사회민주당
필리포 타마니니 (재선)
가에타노 트로이나 (초선)
알렉산다르 부치치 (재선)알랭 베르세 (재선)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주자나 차푸토바 (초선)나타샤 피르츠 무사르 (초선)바하근 하차투랸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무소속
무소속
신아제르바이잔당
그뷔드니 소를라시위스 요한네손 (재선)마이클 D. 히긴스 (재선)일함 알리예프 (4선)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바이람 베가이 (초선)아슬란 브자니아 (초선)알라르 카리스 (초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재선)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초선)세르조 마타렐라 (재선)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초선)페트르 파벨 (초선)비오사 오스마니 (초선)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무소속
무소속
정의개발당
조란 밀라노비치 (초선)니코스 흐리스토둘리디스 (초선)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3선)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사회민주당
무소속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재선)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재선)안제이 두다 (재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
무소속
청년민주동맹
에마뉘엘 마크롱 (재선)사울리 니니스퇴 (재선)노바크 커털린 (초선)
[ 아메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인민진보당
바모스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이르판 알리 (초선)알레한드로 잠마테이다니엘 오르테가 (5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현대혁명당
무소속
국가재건운동
루이스 아비나데르 (초선)실바니 버튼 (초선)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민주당
무소속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조 바이든 (초선)샌드라 메이슨 (초선)니콜라스 마두로 (재선)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사회주의 운동
노동자당
진보개혁당
루이스 아르세 (초선)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3선)찬 산토키 (초선)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자유당
무소속
국민민주행동
하비에르 밀레이 (초선)아리엘 앙리 (권한대행)다니엘 노보아 (초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무소속
해방재건당
국민당
클라우디아 로드리게스 데 게바라 (대행)시오마라 카스트로 (초선)루이스 라카예 포우 (초선)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사회융합당
사회민주진보당
인간적인 콜롬비아
가브리엘 보리치 (초선)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초선)구스타보 페트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무소속
민주혁명당
콜로라도당
크리스틴 캉갈루 (초선)라우렌티노 코르티소 (초선)산티아고 페냐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디나 볼루아르테
[ 아프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현재 군사정권이거나 혹은 사실상 해당 국가의 군 소속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가봉 국기.svg 가봉**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신애국당
가봉군
국가인민당
나나 아쿠포아도 (재선)브리스 클로테르 올리기 응게마(권한대행)아다마 배로 (재선)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기니군
마뎀 G15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마마디 둠부야 (권한대행)우마루 시소쿠 엠바루하게 게인고브 (재선)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진보회의
수단 인민해방운동
아프리카 국민회의
볼라 티누부 (초선)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초선)시릴 라마포사 (초선)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니제르군
민주변혁회의
르완다 애국 전선
압두라하마네 치아니 (권한대행)조지 웨아 (초선)폴 카가메 (3선)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무소속
젊은 말라가시 청년들
말라위 의회당
모하메드 알 멘피 (대통령위원회 의장)안드리 라조엘리나 (3선)라자루스 차퀘라 (초선)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말리군
투쟁 사회주의운동
공정당
아시미 고이타 (권한대행)프리티비라즈싱 루푼 (초선)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초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파일:베냉 국기.svg 베냉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모잠비크 해방전선
무소속
보츠와나 민주당
필리프 뉴시 (재선)파트리스 탈롱 (재선)모크위치 마시시 (초선)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부르키나파소군
폴리사리오 전선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초선)이브라힘 트라오레 (권한대행)브라힘 갈리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독립민주행동당
공화국 동맹
세이셸민주동맹
카를루스 빌라 노바 (초선)마키 살 (재선)와벨 람칼라완 (초선)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평화개발연합당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수단군
하산 셰흐 마하무드 (재선)무세 비히 압디 (초선)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주권위원회 의장)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시에라리온 인민당
민족해방전선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줄리어스 마다 바이오 (3선)압델마지드 테분 (초선)주앙 로렌수 (재선)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민주정의인민전선
무소속
민족저항운동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초선)살러워르크 저우데 (초선)요웨리 무세베니 (6선)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무소속
국가개발통일당
민주당
압델 파타 엘 시시 (재선)해케인드 히칠리마 (초선)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7선)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연합마음운동
진보인민연합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재선)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5선)에머슨 음낭가과 (재선)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차드군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권한대행)폴 비야 (7선)조제 마리아 네베스 (초선)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통합민주연대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공화주의자의 집회
윌리엄 루토 (초선)아잘리 아소우마니 (4선)알라산 와타라 (3선)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콩고 노동당
민주사회진보연합
탄자니아 혁명당
드니 사수 응게소 (7선)펠릭스 치세케디 (초선)사미아 술루후 하산 (초선)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공화국을 위한 연합
무소속
포르 냐싱베 (4선)카이스 사이에드 (초선)
재위 중인 군주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재임 중인 총리 및 수상




[1] 이 때문에 잠시 대학 강사로 활동했다.[2] 폴란드 상원은 정부 추천 인사들에 대한 인준 동의권을 독점하고 있다. 즉, 상원에서 인준안을 통과시키지 못하면 내각 장관, 차관부터 폴란드 중앙은행 총재, 폴란드 국영방송 사장 등등 모든 인사 임명이 불가능하다.[3] 91점(2010) -> 66점(2023)[4] 또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중국 주석 시진핑과 회담을 가지자 이에 대해 "중국이 대만을 공격 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비판을 하기도 했는데 이는 아시아 국가들의 소극적인 지원의 이유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었다는 것인데 특히나 한국의 소극적인 지원은 러시아와의 군사적인 관계도 있었지만 양안전쟁으로 인해 제3차 세계대전까지 번질 것을 우려했던 것이 컸는데, 안제이 두다는 이에 대해 파악을 하고 있었다는 것이다.